업계 뉴스


자동차 관련 기업 및 유관 기관의 주요 소식과 정보를 공유하는 공간입니다


국내 車 생산 내수부진으로 글로벌 순위 7위

운영자
2025-03-09
조회수 93

□ ‘2024년 세계 자동차 생산 현황과 시사점’ 보고서 발표

□ 글로벌 자동차 생산, 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감소 전환 (9,395만대, -0.5%)
- 일본(-8.5%) 생산 부진이 글로벌 생산 감소 주요 원인으로 작용

□ 내수 둔화에 수출 부담 가중, 경쟁력 잃으면 생산국 지위 위협
- 한국, 전년도 6위에서 멕시코에 밀려 7위로 하락 (412.8만대, -2.7%)
- 2025년 美 관세·中 확장에 수출 감소 우려, 국내 생산 위축 가능성


□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(KAMA, 회장 강남훈)는 “2024년 세계 자동차 생산 현황과 시사점” 보고서를 발표함

□ 보고서에 따르면 2024년 세계 자동차 생산은 전년대비 0.5% 감소한 9,395만대로, 2020년 코로나19 팬데믹으로 인한 급감(-15.4%) 이후 처음으로 감소 전환한 것으로 분석됨

◦ 글로벌 생산 감소는 토요타, 혼다 등 일부 업체의 품질 인증 부정 문제로 인한 일본(-8.5%) 생산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으며, 태국(-20.0%), 한국(-2.7%), 스페인(-3.0%) 등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남

◦ 국내 자동차 생산은 수출대수(278만대, +0.6%) 증가에도 불구하고 내수 부진으로 전년대비 2.7% 감소한 413만대를 기록, 글로벌 5~6위에서 다시 7위로 하락함

□ 국가별로는 중국, 미국, 일본, 인도가 4년 연속 상위 4개국 자리를 유지했으며, 이들 4개국의 생산은 글로벌 전체 자동차 생산의 59.7%를 차지

① 중국은 정부 주도의 내수 진작책과 수출 장려 정책이 연계되면서 전년대비 3.7% 증가한 3,128만대를 생산, 16년 연속 1위를 달성

② 미국은 내수 판매 증가(1,596만대, +2.2%)에도 불구하고 제조업체들이 재고 관리에 집중하면서 생산은 0.7% 소폭 감소한 1,056만대를 기록

③ 일본은 토요타 등 일부 업체의 품질 인증 부정 취득 문제와 자연 재해로 인한 생산 중단 여파로 전년대비 8.5% 감소한 824만대를 생산

④ 인도는 내수 판매와 수출이 견고한 동반 성장세를 보이며, 전년대비 2.9% 증가한 601만대를 생산

□ 연간 400만대 수준의 중위권 경쟁에서는 한국이 멕시코에 6위 자리를 내주며, 독일, 멕시코, 한국이 순위를 이룬 것으로 나타남

⑤ 독일은 수출(318만대, +2.3%) 증가에도 불구하고 내수 판매(315만대, -1.2%) 감소 영향으로 0.7% 감소한 442만대를 생산, 전년도 수준을 유지

⑥ 멕시코는 수출과 내수 증가에 힘입어 전년대비 5.0% 증가한 420만대를 기록, 5년 만에 6위 자리를 회복하며 역대 최대 생산 실적을 달성

⑦ 한국은 내수 판매가 2013년 이후 최저치인 163.5만대(-6.5%)를 기록하며 전년대비 2.7% 감소한 413만대를 생산, 7위로 하락 



□ 보고서는 한국의 자동차 산업이 내수 한계와 글로벌 경쟁 심화 등 대내외적 도전과제에 직면해 산업 기반이 위협받고 있다고 진단

◦ 국내 자동차 시장은 잠재 수요가 적은 한계를 갖고 있어, 올해 내수가 전년대비 회복세를 보이더라도 생산 확대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관측됨

◦ 중국 업계의 글로벌 시장 지배력 강화와 미국의 관세 부과 가능성은 수출 감소 요인으로 작용할 전망

- 특히, 미국의 관세 정책은 완성차 기업을 포함한 국내 제조 기업들의 해외 생산 및 투자 확대를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됨

□ 급변하는 경영 환경 변화에 제때 대응하지 못할 경우, 경쟁력 약화로 글로벌 TOP 10 생산국에서 밀려날 위험이 있으며, 전방위적인 산업적 영향이 우려됨

◦ 국내 공장 가동률 저하는 부품업계 경영 악화와 고용 감소로 이어지며, 전후방 산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음

◦ 자동차 산업이 국내 제조업 생산과 고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고려할 때, 생산 기반 약화는 국가 제조업 경쟁력 저하로 연결될 수 있음

□ KAMA 관계자는 “국내 생산 규모 유지 및 확대라는 명확한 목표 아래, 글로벌 선진국들과 대등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

◦ “미래차 생산 및 설비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,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한 내수 진작책과 더불어 국내생산을 촉진하고 지원하는 ‘(가칭)국내생산촉진세제’ 도입 등 정부의 특단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”라고 밝혔다.

0

주소: (03157)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9, 9층 914호(종로1가, 르메이에르 종로타운)
이메일: kaja@kaja.org 
Copyright 2019 KAJA(한국자동차기자협회). All rights reserved